항소심에서 반소를 제기할 때 상대방에게 새로운 불이익이 없다면 동의 없이도 가능해야 합니다.






항소심 반소제기, 상대방 동의 없이 가능할까? 대법원 판례로 알아보는 법적 기준

 

<목차>

  1. 사건의 전말 : 철수와 영희의 건축공사 분쟁
  2. 핵심쟁점 : 항소심에서 반소 제기가 가능한가?
  3. 대법원의 판단 : 상대방 동의 없이 반소 제기 가능
  4. 이 판례의 의미 : 항소심 반소 제기의 기준
  5. 이 판례가 주는 교훈 : 법적 절차의 효율성 강화

사건번호 : 78나1225

판결일자 : 1979. 7. 12.

핵심키워드 : 항소심,반소,민사소송법,법적절차,소송

 

아쉽게도 “항소심,반소,민사소송법,법적절차,소송” 에 관한 모든 판례를 하나의 포스팅에 담기에는 너무 방대하여, 여러 개의 글로 나누어 올렸습니다.

항소심,반소,민사소송법,법적절차,소송” 전체판례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에서 모든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항소심 판례 모두보기

반소 판례 모두보기

민사소송법 판례 모두보기

법적절차 판례 모두보기

소송 판례 모두보기

 

한줄평
항소심에서 반소를 제기할 때 상대방에게 새로운 불이익이 없다면 동의 없이도 가능해야 합니다.

 

철수와 영희의 건축공사 분쟁

철수(가명)는 서울의 한 지역에서 상가 건물을 신축하려고 했습니다. 철수는 영희(가명)에게 공사를 맡겼고, 계약을 통해 공사 대금과 공사 기간을 정했습니다. 하지만 공사를 진행하는 중에 설계 변경이 필요해 추가 공사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공사 대금도 증가했습니다. 영희는 공사를 마친 후 약속한 대금을 받으려고 했으나, 철수는 추가 공사 비용과 공사 미비 부분을 이유로 돈을 덜 주겠다고 했습니다. 결국 두 사람은 서로에게 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법정 다툼에 들어갔습니다.

 

항소심에서 반소 제기가 가능한가?

이 사건의 은 항소심(2심)에서 철수가 영희에게 새로운 반소(반대 소송)를 제기할 때, 영희의 동의가 필요한지 여부였습니다. 민사소송법 제382조에 따르면 항소심에서 반소를 제기할 때는 상대방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동의가 꼭 필요하지 않은 상황도 있었습니다. 법원은 철수가 반소를 제기하면서 영희에게 심급(재판 단계)상의 불이익을 주었는지가 주요 판단 기준이 되었습니다.

 

상대방 동의 없이 반소 제기 가능

대법원은 철수의 반소 제기가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382조의 취지는 상대방이 1심에서 판결받을 기회를 잃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나 철수의 반소는 이미 1심에서도 다뤄졌던 내용이었기 때문에 영희가 새로운 불이익을 받는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철수가 항소심에서 영희의 동의 없이 반소를 제기해도 문제가 없다고 보았습니다.

 

항소심 반소 제기의 기준

이 판례는 항소심에서 반소 제기를 할 때 반드시 상대방의 동의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1심에서 이미 다뤄진 쟁점이라면, 상대방의 동의 없이도 반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법적 절차가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판 당사자들의 권리를 보다 공정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법적 절차의 효율성 강화

이 판례는 기업이나 개인이 소송을 진행할 때 항소심에서도 반소를 통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다만, 반소를 제기할 때는 기존 재판에서 다뤄진 쟁점인지, 상대방에게 추가적인 불이익을 주지 않는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법적 절차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판 당사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혹시 “항소심,반소,민사소송법,법적절차,소송” 판례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항소심,반소,민사소송법,법적절차,소송”” 관련
모든 글을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항소심 판례 모두보기

반소 판례 모두보기

민사소송법 판례 모두보기

법적절차 판례 모두보기

소송 판례 모두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