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근로자의 명확한 동의 없이 임금을 감액하거나 미지급해서는 안 됩니다.






근로자의 동의 없이 임금을 줄일 수 있을까? 대법원 판결로 본 노동자의 권리

 

<목차>

  1. 사건의 전말 :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근로자들의 임금이 문제되었습니다.
  2. 핵심쟁점 : 회사가 근로자들의 임금을 합법적으로 줄였는가?
  3. 대법원의 판단 : 근로자의 동의 없이 임금을 줄일 수 없다.
  4. 이 판례의 의미 : 노동자의 임금 권리는 보호받아야 한다.
  5. 이 판례가 주는 교훈 : 근로자의 동의 없는 임금 감액은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는다.

사건번호 : 2019나19708

핵심키워드 : 임금, 노동법, 단체협약, 임금 감액, 근로자 권리

 

 여기에서 본 판례의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나19708 판례원문 열람

 

한줄평
기업은 근로자의 명확한 동의 없이 임금을 감액하거나 미지급해서는 안 됩니다.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근로자들의 임금이 문제되었습니다.

철수(가명, 피고)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에서 오랫동안 일해 온 근로자였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지속적인 적자로 인해 2017년부터 상여금 일부를 지급하지 않기로 노조와 합의하였습니다. 2018년에도 회사는 경영이 나아지지 않았고, 근로자들에게 상여금뿐만 아니라 급여까지 일부 포기하도록 요청했습니다. 많은 근로자가 회사의 요청을 받아들였지만, 영희(가명, 원고)를 포함한 일부 근로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회사는 근로자들에게 급여와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았고, 이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었습니다. 원고들은 회사가 정당한 사유 없이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며 법원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회사가 근로자들의 임금을 합법적으로 줄였는가?

이 사건의 핵심적인 쟁점은 회사가 경영난을 이유로 근로자들의 임금을 일부 포기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가입니다. 또한, 일부 근로자가 임금 포기에 동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조와의 합의를 근거로 모든 근로자에게 임금 감축을 적용할 수 있는지가 논점이 되었습니다.

 

근로자의 동의 없이 임금을 줄일 수 없다.

법원은 회사가 경영상 어려움을 이유로 근로자들의 임금을 감액할 수는 있지만, 개별 근로자의 동의 없이 이미 발생한 임금을 포기하게 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단체협약이나 노사합의를 통해 전체 근로자에게 적용하려 했으나, 근로자 개개인의 동의가 없었다면 이는 강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원고들이 지급받지 못한 임금은 회사가 반드시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하였습니다.

 

노동자의 임금 권리는 보호받아야 한다.

이 판례는 노동자의 임금이 단체협약이나 회사의 일방적인 결정에 의해 쉽게 포기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 판례입니다. 즉, 경영난이 있다고 해도 노동자의 개별 동의 없이 임금을 줄이는 것은 불법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노동자의 임금 권리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근로자의 동의 없는 임금 감액은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는다.

이 판례는 노동자들에게 자신의 임금에 대한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회사가 어려운 상황이라도 근로자의 동의 없이 임금을 감액하거나 미지급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임금 감액을 결정하기 전에 반드시 개별 근로자의 동의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혹시 “임금, 노동법, 단체협약, 임금 감액, 근로자 권리” 관련 판례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임금, 노동법, 단체협약, 임금 감액, 근로자 권리”” 관련
모든 판례요약 자료를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임금 판례 모두보기

노동법 판례 모두보기

단체협약 판례 모두보기

임금 감액 판례 모두보기

근로자 권리 판례 모두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