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고죄의 고소는 환송 후 1심 판결 선고 전까지 적법하게 취소될 수 있어야 합니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성전환자의 성별 정정, 기준은?

 

<목차>

  1. 사건의 전말 : 철수는 가족관계등록부에 적힌 성별을 바꾸고 싶었습니다.
  2. 핵심쟁점 : 성전환자의 성별 정정 허가 여부입니다.
  3. 대법원의 판단 : 성별 정정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4. 이 판례의 의미 : 사회적 합의와 가정의 복지를 강조합니다.
  5. 이 판례가 주는 교훈 : 자녀와 가족의 복지를 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사건번호 : 2009스117

판결일자 : 2011. 9. 2.

핵심키워드 : 성전환, 성별 정정, 가족관계등록부, 미성년 자녀, 혼인

 

아쉽게도 “성전환, 성별 정정, 가족관계등록부, 미성년 자녀, 혼인” 에 관한 모든 판례를 하나의 포스팅에 담기에는 너무 방대하여, 여러 개의 글로 나누어 올렸습니다.

성전환, 성별 정정, 가족관계등록부, 미성년 자녀, 혼인” 전체판례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에서 모든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성전환 판례 모두보기

성별 정정 판례 모두보기

가족관계등록부 판례 모두보기

미성년 자녀 판례 모두보기

혼인 판례 모두보기

 

한줄평
성별 정정은 가족과 사회의 복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철수는 가족관계등록부에 적힌 성별을 바꾸고 싶었습니다.

철수(가명)는 태어날 때부터 남성으로 등록되었지만, 성별 정체성의 혼란으로 성전환수술을 받았습니다. 이후 여성으로 살아가며 가족관계등록부상의 성별도 여성으로 변경하고자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철수는 과거에 결혼하여 배우자와 자녀를 두었고, 자녀는 아직 미성년자였습니다. 법원은 이 점을 중요하게 고려했습니다. 성별 변경이 자녀와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며 신청을 검토했습니다.

 

성전환자의 성별 정정 허가 여부입니다.

혼인 상태에 있거나 미성년 자녀를 둔 경우, 성별 정정을 허용할 수 있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이는 가족관계등록부의 성별 변경이 자녀와 배우자에게 미칠 영향과 사회적 인식을 고려하는 문제였습니다.

 

성별 정정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성전환자의 성별 정정이 배우자나 미성년 자녀의 법적 지위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미성년 자녀의 복리가 최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철수의 신청을 기각하며, 혼인 상태나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 성별 정정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확인했습니다.

 

사회적 합의와 가정의 복지를 강조합니다.

성전환자의 권리를 인정하면서도, 가정 구성원과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사회적 혼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이는 성전환자와 가족 구성원 모두의 권리와 복지를 균형 있게 고려한 결정입니다.

 

자녀와 가족의 복지를 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성별 정정과 같은 민감한 문제는 당사자의 권리뿐 아니라, 가족 구성원의 복지와 사회적 영향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 그들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지위를 보호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혹시 “성전환, 성별 정정, 가족관계등록부, 미성년 자녀, 혼인” 판례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성전환, 성별 정정, 가족관계등록부, 미성년 자녀, 혼인”” 관련
모든 글을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성전환 판례 모두보기

성별 정정 판례 모두보기

가족관계등록부 판례 모두보기

미성년 자녀 판례 모두보기

혼인 판례 모두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