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고용 조건을 만들 때 기존 직원의 권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근로조건 차별과 고용형태 차이, 대법원이 밝힌 기준

 

<목차>

  1. 사건의 전말 : 철수(가명, 피고)는 영희(가명, 원고)에게 돈을 빌렸습니다.
  2. 핵심쟁점 : 월급제 직원에 대한 수당 차별이 정당한지 여부이다.
  3. 대법원의 판단 : 수당 차이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4. 이 판례의 의미 : 고용 형태에 따른 차별이 항상 불합리한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5. 이 판례가 주는 교훈 : 고용조건의 변경은 기존 권리와의 형평을 고려해야 한다.

사건번호 : 2019다230134

핵심키워드 : 근로조건

 

 여기에서 본 판례의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19다230134 판례원문 열람

 

한줄평
새로운 고용 조건을 만들 때 기존 직원의 권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철수(가명, 피고)는 영희(가명, 원고)에게 돈을 빌렸습니다.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에서 영희는 월급제로 일하는 교육공무직원이었습니다. 같은 학교에서 일하는 철수는 호봉제로 일하면서 더 많은 수당을 받았습니다. 영희는 자신이 단지 급여 방식이 다르다는 이유로 수당을 덜 받는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서울시를 상대로 수당 차액을 달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서울시는 호봉제 직원의 기존 권리를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이 사건은 대법원까지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월급제 직원에 대한 수당 차별이 정당한지 여부이다.

이 판례의 핵심적인 쟁점은 철수는 영희에게 수당을 덜 지급한 것이 정당한가입니다. 이것은 두 사람 모두 같은 일을 하는데 급여 형태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수당을 다르게 지급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문제입니다.

 

수당 차이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사안에 대해 법원은 서울시가 수당을 차등 지급한 것은 과거 호봉제 직원의 기존 권리를 지키기 위한 정당한 조치라고 판단하였습니다. 따라서 월급제 직원에게 불이익을 주기 위한 차별로 볼 수는 없다고 보았습니다.

 

고용 형태에 따른 차별이 항상 불합리한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이 판례가 중요한 이유는 고용형태가 다르면 같은 일을 해도 처우에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별이 존재하더라도 그 이유가 타당하면 법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고용조건의 변경은 기존 권리와의 형평을 고려해야 한다.

은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고용 조건을 바꾸려 할 때 기존 직원들의 권리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새로운 제도를 도입한다고 해서 기존 근로자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혹시 “근로조건” 관련 판례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근로조건”” 관련
모든 판례요약 자료를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조건 판례 모두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