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파탄의 책임이 쌍방에 있을 때, 이혼을 청구한 사람이 상대방보다 더 큰 책임이 없다면 이혼은 인정되어야 합니다.






임차권 양도와 계약 해지신뢰와 실질적 판단의 중요성

 

<목차>

  1. 사건의 전말 : 임차권 문제로 벌어진 갈등
  2. 핵심쟁점 : 계약해지권의 유효성 여부
  3. 대법원의 판단 : 배신적 행위로 볼 수 없다
  4. 이 판례의 의미 : 임차인의 보호와 신뢰의 기준
  5. 이 판례가 주는 교훈 : 신뢰와 상황의 중요성

사건번호 : 92다45308

판결일자 : 1993. 4. 27.

핵심키워드 : 임차권, 계약해지, 신뢰, 부동산, 민법

 

아쉽게도 “임차권, 계약해지, 신뢰, 부동산, 민법” 에 관한 모든 판례를 하나의 포스팅에 담기에는 너무 방대하여, 여러 개의 글로 나누어 올렸습니다.

임차권, 계약해지, 신뢰, 부동산, 민법” 전체판례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에서 모든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임차권 판례 모두보기

계약해지 판례 모두보기

신뢰 판례 모두보기

부동산 판례 모두보기

민법 판례 모두보기

 

한줄평
계약 해지는 상대방의 신뢰를 실질적으로 훼손한 경우에만 가능해야 합니다.

 

임차권 문제로 벌어진 갈등

철수(가명)는 한 학교 재단으로부터 땅을 임대받아 가구점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철수의 아내인 영희(가명)는 철수와 함께 가구점을 경영했지만, 어느 날 철수와 이혼하며 땅과 가구점 운영권을 양도받았습니다. 이후 영희는 가구점을 혼자 운영하다가 철수와 재결합해 다시 함께 사업을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임대인은 영희가 철수에게 임차권을 양도받았다는 점을 문제 삼으며 임대차 계약을 해지하려 했습니다. 이에 영희는 법원에 문제 해결을 요청하며 사건이 시작되었습니다.

 

계약해지권의 유효성 여부

이 사건의 은 철수가 영희에게 임차권을 양도한 것이 임대인의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로 볼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즉, 영희가 임대인의 승낙 없이 임차권을 이전받은 것이 계약 해지의 이유가 될 수 있는지가 문제입니다.

 

배신적 행위로 볼 수 없다

법원은 영희가 철수와 부부로서 임차물에서 함께 가구점을 운영해왔던 점과 영희가 단순히 형식적으로 사업 주체가 변경된 것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영희의 행위는 임대인의 신뢰를 배신하는 행위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이 사건에서 영희의 임차권 주장은 정당하며,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권리가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임차인의 보호와 신뢰의 기준

이 판례는 임차인의 권리가 단순히 형식적 변경으로 인해 쉽게 부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특히, 가족이나 부부 간에 이루어진 계약 사항은 임대인의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하지 않는 한 해지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이는 임차인의 권리를 보다 폭넓게 보호하려는 법원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신뢰와 상황의 중요성

이 판례는 임대차 계약에서 신뢰가 중요하지만, 그 신뢰를 판단할 때 실질적 상황과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임대인은 계약 해지를 주장하기 전, 상대방의 행위가 실질적으로 신뢰를 훼손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반대로 임차인은 계약 조건을 준수하면서 임대인의 신뢰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혹시 “임차권, 계약해지, 신뢰, 부동산, 민법” 판례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임차권, 계약해지, 신뢰, 부동산, 민법”” 관련
모든 글을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임차권 판례 모두보기

계약해지 판례 모두보기

신뢰 판례 모두보기

부동산 판례 모두보기

민법 판례 모두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