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시 재산분할 합의를 반드시 명확히 해야 합니다.






공무원연금 분할, 법 적용 기준은 무엇일까?

 

<목차>

  1. 사건의 전말 : 철수는 연금을 나눌 수 있는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2. 핵심쟁점 : 연금 분할 자격이 쟁점입니다.
  3. 대법원의 판단 : 영희는 분할 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4. 이 판례의 의미 : 법 적용 시점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5. 이 판례가 주는 교훈 : 법 개정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사건번호 : 2018두32590

판결일자 : 2019. 12. 12.

핵심키워드 : 공무원연금, 연금분할, 법 적용, 이혼, 연금수급

 

아쉽게도 “공무원연금, 연금분할, 법 적용, 이혼, 연금수급” 에 관한 모든 판례를 하나의 포스팅에 담기에는 너무 방대하여, 여러 개의 글로 나누어 올렸습니다.

공무원연금, 연금분할, 법 적용, 이혼, 연금수급” 전체판례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에서 모든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 판례 모두보기

연금분할 판례 모두보기

법 적용 판례 모두보기

이혼 판례 모두보기

연금수급 판례 모두보기

 

한줄평
법적 권리는 개정법의 적용 기준을 철저히 이해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철수는 연금을 나눌 수 있는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영희(가명)는 공무원으로 재직했던 배우자 철수(가명)와 2014년 이혼했습니다. 당시 이혼 소송 중 합의를 통해, 철수는 매달 자신의 공무원연금 중 일부를 영희에게 지급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후 2016년, 영희는 새로운 법에 따라 철수의 연금을 정식으로 분할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철수는 법 개정 이전에 이혼한 사람은 연금을 나눌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했습니다. 이에 영희는 법원의 판단을 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연금 분할 자격이 쟁점입니다.

이 사건의 핵심은 법 개정 이전에 이혼한 영희가 새로운 법에 따라 철수의 공무원연금을 나눌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이는 법 시행 시점과 연금 지급 사유 발생 시점 간의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 문제입니다.

 

영희는 분할 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대법원은 2016년 1월 1일 시행된 법에 따라, 연금 분할 자격은 법 시행 이후 이혼한 사람에게만 적용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영희가 2014년에 이혼했기 때문에 새로운 법의 적용을 받을 수 없다고 결정했습니다. 다만, 영희는 기존 합의에 따라 철수로부터 연금을 받을 권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법 적용 시점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이 판례는 법 개정 이후에 발생한 사유에만 새로운 법이 적용된다는 원칙을 확인시켜줍니다. 이는 법 적용의 명확성을 유지하고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법 개정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개인이 법적 권리를 주장할 때, 법 개정 시점과 적용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특히, 중요한 계약이나 합의 시에는 법적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혹시 “공무원연금, 연금분할, 법 적용, 이혼, 연금수급” 판례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공무원연금, 연금분할, 법 적용, 이혼, 연금수급”” 관련
모든 글을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 판례 모두보기

연금분할 판례 모두보기

법 적용 판례 모두보기

이혼 판례 모두보기

연금수급 판례 모두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