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뿐만 아니라 토지의 권리 상태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근저당권과 신축 건물, 세입자가 알아야 할 법적 대항력

 

<목차>

  1. 사건의 전말 : 다세대주택과 근저당권 이야기
  2. 핵심쟁점 : 신축 건물의 법적 지위
  3. 대법원의 판단 : 신축 건물은 보호받기 어렵다
  4. 이 판례의 의미 : 법적 지상권의 한계
  5. 이 판례가 주는 교훈 : 세입자와 건물주의 주의사항

사건번호 : 2022나41356

판결일자 : 2023. 6. 16.

핵심키워드 : 근저당권,신축건물,법정지상권,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계약

 

아쉽게도 “근저당권,신축건물,법정지상권,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계약” 에 관한 모든 판례를 하나의 포스팅에 담기에는 너무 방대하여, 여러 개의 글로 나누어 올렸습니다.

근저당권,신축건물,법정지상권,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계약” 전체판례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에서 모든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근저당권 판례 모두보기

신축건물 판례 모두보기

법정지상권 판례 모두보기

주택임대차보호법 판례 모두보기

임대차계약 판례 모두보기

 

한줄평
건물뿐만 아니라 토지의 권리 상태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다세대주택과 근저당권 이야기

철수(가명)는 서울에 있는 다세대주택을 새로 지으려고 땅과 기존 건물을 사서 새마을금고에서 돈을 빌렸습니다. 이 과정에서 새마을금고는 철수가 가진 땅과 건물에 근저당권을 설정했어요. 철수는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다세대주택을 지어 여러 세대에게 임대했습니다. 이때 여러 사람들, 예를 들어 영희(가명)와 철수의 건물에 전세로 들어온 사람들이 전입신고도 하고 보증금도 지불했죠. 하지만 철수가 돈을 갚지 못하자 새마을금고는 땅을 경매에 넘겼고, 경매에서 승자였던 정훈(가명)이 땅을 사게 되었습니다. 정훈은 새 건물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나가달라고 요구했어요.

 

신축 건물의 법적 지위

이 사건에서의 은 새로 지어진 다세대주택이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가입니다. 기존 건물에 설정된 근저당권이 철거 후 새 건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세입자들이 새 건물에서 대항력을 가질 수 있는지가 주요 논점이었어요.

 

신축 건물은 보호받기 어렵다

대법원은 기존 건물이 철거된 후 새 건물을 지었지만, 이 새 건물에 대해 기존의 근저당권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세입자들이 대항력을 주장할 수 있지만, 그 대항력은 건물에만 적용될 뿐 토지 소유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봤어요. 결국 정훈이 땅을 매수한 후 새 건물의 세입자들에게 퇴거를 요구한 것은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법적 지상권의 한계

이 판례는 법적 지상권이 모든 상황에서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기존 건물에 근저당권이 설정된 경우라도 새 건물에는 자동으로 그 권리가 이어지지 않으며, 새로운 건물에 대해 추가적인 권리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세입자들은 건물뿐만 아니라 토지에 대한 권리도 잘 살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해요.

 

세입자와 건물주의 주의사항

세입자는 계약을 할 때 건물뿐만 아니라 그 건물이 지어진 땅의 권리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특히 근저당권이 설정된 건물에 입주할 경우 경매 등으로 소유권이 바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건물주 역시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 건물을 지을 때, 기존 근저당권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추가적인 법적 절차를 밟아야 해요.

 

 혹시 “근저당권,신축건물,법정지상권,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계약” 판례정보가 더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근저당권,신축건물,법정지상권,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계약”” 관련
모든 글을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근저당권 판례 모두보기

신축건물 판례 모두보기

법정지상권 판례 모두보기

주택임대차보호법 판례 모두보기

임대차계약 판례 모두보기

 





 

Leave a Comment